김성우

김승은

한혜영

Milo

인공지능증강디자인

소아 중환자는 발달 과정 중에 고강도 치료를 받으며 병원 내 반복되는 치료 환경에 놓여있다. 이동 과정에 큰 심리적 불안을 가지게 되어, 치료를 받으러 가는 길 마저도 공포의 요소가 된다. Milo는 이러한 이동 경험을 안전하고 즐겁게 전환하기 위해 제안된 실내형 모빌리티이다. 부드러운 외형과 감정 인식 기반 UI, 상호작용 콘텐츠 등을 활용한 아동의 이동경험의 개선을 목표로 삼았다. Milo는 단순한 이동을 넘어, 치료 전후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놀이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Milo와 함께 아이는 병원에서의 '이동'을 회복 과정의 긍정적 요인으로 받아들이고 감정적으로도 회복해나갈 수 있다.

김성우

김승은

한혜영

Milo

인공지능증강디자인

소아 중환자는 발달 과정 중에 고강도 치료를 받으며 병원 내 반복되는 치료 환경에 놓여있다. 이동 과정에 큰 심리적 불안을 가지게 되어, 치료를 받으러 가는 길 마저도 공포의 요소가 된다. Milo는 이러한 이동 경험을 안전하고 즐겁게 전환하기 위해 제안된 실내형 모빌리티이다. 부드러운 외형과 감정 인식 기반 UI, 상호작용 콘텐츠 등을 활용한 아동의 이동경험의 개선을 목표로 삼았다. Milo는 단순한 이동을 넘어, 치료 전후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놀이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Milo와 함께 아이는 병원에서의 '이동'을 회복 과정의 긍정적 요인으로 받아들이고 감정적으로도 회복해나갈 수 있다.

김성우

김승은

한혜영

Milo

인공지능증강디자인

소아 중환자는 발달 과정 중에 고강도 치료를 받으며 병원 내 반복되는 치료 환경에 놓여있다. 이동 과정에 큰 심리적 불안을 가지게 되어, 치료를 받으러 가는 길 마저도 공포의 요소가 된다. Milo는 이러한 이동 경험을 안전하고 즐겁게 전환하기 위해 제안된 실내형 모빌리티이다. 부드러운 외형과 감정 인식 기반 UI, 상호작용 콘텐츠 등을 활용한 아동의 이동경험의 개선을 목표로 삼았다. Milo는 단순한 이동을 넘어, 치료 전후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놀이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Milo와 함께 아이는 병원에서의 '이동'을 회복 과정의 긍정적 요인으로 받아들이고 감정적으로도 회복해나갈 수 있다.

제 34회 경희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전시

WHEN

2025.11.12 Wed - 2025.11.16 Sun

WHERE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대학 2F A&D 갤러리

INSTAGRAM

제 34회 경희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전시

WHEN

2025.11.12 Wed - 2025.11.16 Sun

WHERE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대학 2F A&D 갤러리

INSTAGRAM